TIL(Today I Learned) 주제를 좁히고 좁혀야 해야 할 것들이 명확해지고 다음 액션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 우선순위가 정해진다. 데이터 분석은 기대한 만큼의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 처음에는 실망도 많이했는데 이제 내성이 생겼다. 데이터가 어떻게 쌓이는지 배경을 알아야할 필요성을 느꼈다. 오늘의 집 스타일링샷 수는 리뷰를 쓰는 과정에서 등록된 것(포토리뷰)이라고 생각했는데 집들이나 팔로잉 콘텐츠에서 태깅 된 수였다. 데이터가 어디서 흘러오는 것인지 서비스를 이용해보며 추적하는 방식으로 수치에 대한 의미를 파악해냈다. 지표를 이해하려면 서비스 로직도 알아야 한다. Keep 전처리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의사결정 순간이 매번 찾아온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가 균일하게 정렬되어 있지 않았다. 상품마다..